출장보고서
Table of Contents
출장 보고서 출장일 :
작성일 :Session별 요약 및 관련 내용
10시 공통 세션 삼성디스플레이 책임.
- 삼성 폴드는 PI기판으로 배선을 한다.
- 커버글라스는 30um Ultra Thin Glass(UTG)를 사용함.
- 이 정도 두께에서는 접힌다. 200에는 휘지 않음.
- 중국은 UTG 기술이 없어서, CPI를 쓴다. (확인 불가) QnA : 뭉툭한, 그리고 뾰족한(S펜)에 대한 물리적 강도를 만족하는 것은 UTG뿐이기에.
- 물리적 특성 문제로 더 두꺼운 것을 원하는 상태.
- 내부에 CFRP라는 내충격 소재를 사용하며, 이 내충격 소재는 원래 휘지 않음. (삼성의 기술) 중간중간 슬릿을 만들어 보호+폴딩이 되도록 함.
- Fab 공정은 한국에서, 모듈 공정은 해외에서 (기술 탈취문제)
- 삼성은 UV 속경화가 되는 OCA 제품을 사용중.
- OCA는 보통 20um 정도 되는데 삼성은 어떤가 ? A: 상부는 50um 35um 3~5개층 사용. 내부는 18um 25um 3~5개층 사용.
- 삼성은 UV 속경화가 되는 OCA 제품을 사용중.
- 삼성이 원하는 혁신은? 어려운 조건!!
- 두꺼우면서 폴딩이 (얇은건 당장은 어쩔 수 없음.)
- 얇으면서 강해야함.
- 부드러우면서 터프해야 함.
- 단순 유리보다 Flexible이 더 강점이 있는가(?)
- OLED 유기물이 수분이나 공기가 닿지 않도록, 봉지기술이 사용되고 있음. Flexible은 중간에 공기진공이 없이 쌓아올릴 수 있음. (속을 채워야 하는 것으로 보임.) 공정적으로도, 유리기판에 올려서 작업하기 때문에 공정 상 불이익이 작음.
- Q 폴더블 폰은 Digitiger는 접히지 않기 때문에, 1+1으로 가운데 Gap이 있음. 가운데 방열제로 채워져 있으며, 결국은 digitiger도 1개로 합쳐야 함.
- 점착제 문제, -20~80(90) 정도 온도에서 복원이 가능한 점착제를
사용해야 함. 현재 사용하는건 고온에서 복원이 안되고, 한국에서의
사용환경은 100도 폭이며, 반복적으로 접어야하는 제품이다 보니 매우
어려움.
- 트랜드는 OCA -> OCR로 가는 상황이 맞음.
- 실리콘이 차세대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 온도차 영향에 대한 평가가 좋음. Flexible함.
- 삼성이 현재 안 쓰는건, 4초 공정을 만들어 놓은데 당장 적용이 어려움.
- 실리콘 OCA를 만들고 싶어도, 실리콘에 맞는 이형지를 찾기 어려움.
- 아크릴보다 접착력이 약함. 아크릴은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존재함.
이형필름 때는 공정이 어려워서, OCR로 바꾸기원하나. 이미 베트남 4초라인에는 이미 OCA설비가 깔려있음. PSA OCA가 싸지면서 바꾸기 어려움. 크기가 커지면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 5세대 1500mm 공정. 2500mm 짜리 차세대 큰 공정용은 OCA가 아니라 OCR로 갈 것 같음.
- 좌장(서울대 교수) 답변 연구소 차원에서는 (서울대 + 삼성) 실리콘은 소재는 좋으나, 공정이 안 좋아. 세계최고라고 창업도 했으나 그 업체도 망했음. 연구소 차원에서 inkjet OCR을 하는데 모노머 점도가 너무 낮음. 보통은 그럴 때는, 반경화 같은 방법을 쓰지만 그러면, 긁어서 재사용이 어려움. 공정 개발 필요.
접착 : A1세션. 전기차 배터리 방열, 방염, 및 접착제 솔루션
- 전기차 시장에서 고속충방전은 이제 필수가 되었음. 열이 매우 많이 발생.
- 전기차 로봇산업 접착 솔루션도 Automation이 되어야해 액체 솔루션
- 가스켓, 방열, 열폭주 지연 등 결국 잉크젯 형태 액체형태.
- 전기차 하나에 접착제 30개 정도 사용.
- 내연차 : 접착제 15kg
- 전기차 : 접착제 30kg 사용.
- 배터리 Stacking ( ||||||) 예전에는 고체로. 요즘에는 액상 핫멜트.
- 열전도 어드헤시브, (원래는 접착력이 X )
- 요즘에는 있는 방향으로 TCA 사용
- Thermal Gap Filler.
- 실리콘, 논실리콘 다 있으며,
- 외국은 실리콘 규재(OEM 내부 규재) 법규제 등 공식은 아님. (EU, USA)
- ADAC로 규제 있음. (의미를 찾아봐야함.)
- 액상은 리워크 가능하여, 많이 사용.
- Thermal Gap Filler.
- 없는 것도 취급 중이다.
- 2018년부터 적용
- 고온 고압 환경성 모두 통과.
- 요즘에는 있는 방향으로 TCA 사용
뷰전 PDLC 필름.
건대 디스플레이학과 석사가 대표.
- 탄소중립, 에너지 절감.
- 자외선 적외선 차단기술
- 전기가 들어올 때 투명함.
- 광차단, 시계차단 등 만들 수 있음.